본문 바로가기
[요결] 연구방법 연구방법 순서 사회사업 '방법'은 사회사업 '개념 가치 이상 철학 주안점'에 따라 정해지고사회사업 '개념 가치 이상 철학 주안점'은 '사람다움 사회다움'에서 나온다고 봅니다. 이러므로 먼저 '사람다움 사회다움'을 탐구하고 그로써 사회사업 '개념 가치 이상 철학 주안점'을 밝혀 사회사업 '방법'을 찾습니다. 열쇠 농사의 씨앗과 땅처럼 사람과 사회를 사회사업 핵심 원소로 봅니다. 복지요결은 이를 당사자와 지여가회라 하고 사회사업 옩갖 주제를 대개 이 두 가지 열쇠로 풀이합니다. 연역법 사람다움 사회다움으로부터 사회사업 '개념 가치 이상 철학 주안점'과 방법을 끌어냅니다. 사람다움 사회다움 관점에서 사회사업 개념을 정의하고, 사람다움 사회다움에서 사회사업 가치를 찾고, 사람다움 사회다움을 지향하는 사회사업 이.. 2019. 3. 18.
[요결]줄거리 줄거리 사람다움 사회다움 : 사람은 자기 삶의 주인으로 살아야 합니다.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야 합니다. 사람 사는사회는 약자도 살 만해야 하고 약자와 더불어 살아야 합니다. 이웃이 있고 인정이 있어야 합니다. 사회사업 개념 : 사회사업은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복지를 이루고 더불어 살게 돕는 일입니다. 사회사업 가치와 윤리 : 사회사업 핵심 가치는 당사자의 자주성과 지역사회 공생성입니다. 사회사업 윤리는 당사자의 자주성과 지역사회 공생성을 살려 돕는 겁니다. 적어도 해지치는 않는 겁니다. 사회사업 이상 : 사횟아ㅓㅂ은 약자도 살 만하고 약자와 더불어 사는 사회, 누구나 정붙이고 살 만한 사회를 지향합니다. + 평범한 일상으로 소박하게 이루고 누리는 복지를 지향합니다. 사회사업 철학 : 사회사업은 복지를 보이.. 2019. 3. 17.
[요결] 사회사업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사회사업 바르게 하고 싶습니다. 사회사업 잘하고 싶습니다. 근본 있는 사회사업가이고 싶습니다. 사회사업이 어떤 일이며 무슨 가치가 있는지, 의미도 모르고 움질일 수는 없습니다. 문제의 근원이 무엇이며 복지의 바탕이 무엇인지, 우리를 모르고 그저 뛰어들 수는 없습니다. 어디로 가야 하는지 어떻게 가야 하는지, 이상과 철학도 없이 달음질 할 수는 없습니다. 어떻게 되어야 사회사업 바르게 했다 잘했다 할 것인지, 기준도 없이 그저 열심히 할 수는 없습니다. 남들 하는 대로, 시키는 대로, 얼마 동안은 그렇게 할 수도 있겠으나오래 하지는 못할 일입니다. 현실이 어렵다고 마냥 그럴 수는 없습니다. 근본이 있어야 합니다. 사회사업 그렇게 하는 까닭, 자기 실천의 근거가 있어야 합니다. -머릿말 중에서 2019. 3. 16.
실적은 숫자 놀이에 불과하다. 매년 수많은 실적을 매만지고(?) 있다. 실적을 요청하는 곳의 취향에 따라 다듬는다. 어떤이는 자신이 필요한 부분만 요청하기도 하고, 어떤이는 복지관의 특정 영역에 대해서 묻기도 한다. (남녀 구분 따위나, 소득 수준, 장애 유무 등)어떤이는 전체(?) 실적을 요청하기도 하고, 어떤이는 실인원을 요청하기도 한다. 내가 볼 때 대부분이 허수다. 사회사업 실적은 숫자놀이다. 실적을 줄이기도 좋고, 불리기도 좋다. 예를 들어 아동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각 프로그램의 영역을 나누면 실적은 늘어난다. 000 프로그램에 소규모 집단활동, 체험활동, 요리교실 따위를 나누어 실적을 잡으면 3배가 되어 버린다. 프로그램의 단위를 구분짓는 기준도 기관마다 달라서 제각각이다. 통일이 될리 없고, 통일이 될 수 도 없는 일이.. 2019. 2. 12.
문득.. 종원이형의 장애인식개선 교육이 생각나네 2019. 2. 6.
아이 공부 ‘견뎌주기’란아동이 어떤 공격적이거나 비도덕적인 행동을 하여도 교사가 참고 견뎌주는 것이다. 아동은 때때로 자신도 모르게 공격성을 보이거나 일부러 미운 행동을 하기도 한다. 이때 교사가 화를 내고 훈계하여 고치려 들거나, 강한 벌을 주며 보복한다면 아동은 교사로부터 안정성과 심리적 지지를 느끼지 못한다. 교사가 아동의 공격성에 반응하지 않고 묵묵히 견디어 줌으로써 아동은 자신의 공격성에도 흔들리지 않고 안아주는 교사에게서 심리적인 지지와 충만한 안정감을 느낀다. ‘사랑 받는 느낌주기(love energy)’란교사가 아동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사랑과 애정의 정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동은 교사로부터 이해받고 사랑받는 감정을 느끼면서 스스로 자신의 가치감을 확인시킨다. 즉 교사가 아동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 2018.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