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현 선생님의 '주인의식' 글을 읽고 정수현 선생님의 페이스북 원글https://www.facebook.com/permalink.php?story_fbid=1651971531534418&id=100001647622440 정수현 선생님의 글로 긴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저도 정수현 선생님의 글을 잘 봤고, 댓글도 유심히 읽었습니다. 중간에 양원석 선생님께서 정수현 선생님의 의중을 잘 살피신 것은 인상깊었습니다. #조직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꺼내셨기에 조직에 대한 이야기가 주로 나온것 같습니다. 정수현 선생님의 말씀처럼 과연 주인의식을 가지고 사는 사람을 조직이 좋아할지 모르겠습니다. 상식(?)대로라면 주인의식 있는 사람을 조직이 더 좋아하겠다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그렇지않은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조직은 조직에 순응하는 사람을 좋아.. 2017. 12. 25. 해야 할 일을 하는거다. 사회사업이 사람에게 인정받기 위해 하는 것은 아니었다. 나름대로 하면 좋겠다 생각했고, 해보면 잘 할 수 있겠다 생각했고, 나도 사회사업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겠다 생각했다. 사회사업마땅한 일을 하는 것이라 생각했지사람한테 잘보이고 인정받기 위해 한 일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래.. 해야 할 일을 하는거다. 누군가에게 인정받기 위해 하는 일이 아니다. 2017. 12. 21. 앞으로도 동료들과 꾸준히 공부하고 싶습니다. 어느 기관의 자기소개서에 기록한 내용입니다. 자기소개서 양식이 따로 없어 사회복지정보원의 자기소개서 양식을 따라 작성했습니다. 그 중 앞으로 하고 싶은 일을 기록한 것 중 하나입니다. 동료들과 꾸준히 공부하고 싶습니다.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나온 뒤로 교육 많이 다녔습니다. 배운 것을 나름대로 실천에 적용해 보기 위해 애쓰기도 했습니다. 교육 다니며 배우고 실천하며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직원들과 학습했습니다. 사회복지사는 꾸준히 공부해야 하는 사람입니다. 당사자와 지역사회를 다양한 관점으로 이해하고, 기존의 실천방법과 새로운 실천방법을 접목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민들과 만나기 때문에 지식의 폭도 넓어야 합니다. 특히,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실천사례에 대한 공부가 절실히 필요합니다. 판사나 .. 2017. 8. 26. 지역복지 활동을 꾸준히 해보자 어느 기관의 자기소개서에서 앞으로 해보고 싶은 일을 기록한 내용입니다.짧은 내용이고 더 채워 넣어야 할 내용이 많습니다. 저는 사회사업가로서 당사자가 복지를 이루게 돕고, 지역사회에 복지가 흐르도록 하는 일을 꾸준히 해보고 싶습니다. 사례관리사업, 지역조직사업, 서비스제공사업 등 어떤 것이든 이를 구실로 당사자와 지역사회가 복지를 이루고 더불어 살도록 상관하고 싶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자가 자기 삶을 살아가길 희망합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가 사회적 약자와 함께 어울리며 살아갈 수 있는 바탕이 되길 희망합니다. 어떤 구실이건 당사자와 지역사회에 인사하고, 묻고 의논하고 부탁하고, 감사하면서 실천하고 싶습니다. 이런 실천이 당사자를 사람으로 세우고, 지역사회의 공생성을 회복하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함께 .. 2017. 8. 26. 사회사업 하게 된 배경 사회복지정보원 지원서에 쓴 내용입니다. 몇 몇 기관의 입사지원서에 제출한내용입니다. 글쓰는 솜씨가 부족하여 더 수정할 것이 있습니다. 차차 공부하며 조금씩 손봐야겠습니다. 사회복지정보원에서 진행하는 2005년 여름방학 시골사회사업 합동실습에 참여하면서 사회사업 해볼만 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용기가 생겼습니다. 합동실습 참여하기 전까지는 학교에서 배운 것을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습니다. 내가 과연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막막함이 있었습니다. 이전에도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참여했지만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배치와 안내 정도였고, 내가 배운 것을 적용할 만한 실천의 장은 없었습니다. 이런 첫 번째 실습 경험으로 인해 더 막막했는지도 모릅니다. 시골사회사업 관련 링크 : https://goo.g.. 2017. 8. 26. 사회사업 이상 사회사업 이상은 ① 약자도 살만하고 약자와 더불어 사는 사회를 지향합니다. 약자도 살만한 사회는, 일반 복지수단을 약자도 이용할 수 있는 사회입니다. 약자와 더불어 사는 사회는, 사람들이 제 마당 제 삶터 자기 인간관계와 일상생활 속에서 약자를 만나고 돕는 사회입니다. ② 정 붙이고 살만한 사회를 지향합니다. 정 붙이고 살만한 사회는, 눈물 고통 슬픔이 있고, 가난 질병 장애가 있고, 이런 저런 어려움이 있을지라도 '그래도 이웃이 있고 인정이 있어' 살만한 세상입니다. 불편하거나 갈등이 있을지라도그래도 혼자는 아닌 세상고운 정이든 미운 정이든 정 붙이고 살만한 사회입니다. 이것이 저의 사회사업 이상입니다. 참고 : 복지요결 사회사업 이상편 참고. 저는 복지요결의 사회사업 이상을 따르는 사회사업가 입니다. 2017. 8. 24.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