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두보기

(196)
합동연수에서 이야기 나누며 드는 생각 메모 합동연수에서 이야기 나누며 드는 생각 메모 # 당사자의 몫당사자의 몫은 당사자가 할 수 있게 하되 조직에서 필요한 절차와 행정은 사회사업가의 몫입니다. 절차와 행정 때문에 당사자가 할 수 있는 일을 사회사업가가 대신해 주어선 안됩니다. (사회복지관의 행정절차가 좀 까다롭기는 합니다.) 복지사업도 좋겠지만, 당사자와 지역사회 사람살이가 더 중요합니다. '사람 사는 것 같다'라는 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사회사업가에게는 이것보다 더 좋은 평가는 없습니다. # 기록감동과 감사를 기록으로 남기지 않고서는 안될 것 같은 마음. 어떻게든 감동과 감사를 풀어내고(표현하고) 싶은 마음이 일어 기록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기록할 수 밖에 없는 사업사업의 현실이 아닌가 합니다. # 대신해주면 퇴화된다. 대신해주면 퇴화하기 ..
2017년 6월 책사넷 6월 공지 : http://cafe.daum.net/cswcamp/4ufY/728 일시 : 2017. 6. 26. (월) 19:30 ~21:00장소 : 더함 공동체 교회 (인천 남구 주안서로 8 정명빌딩 2층) 매번 정리한다고 마음을 먹지만 쉽지 않습니다. 6월 책사넷에서 정수현 선생님과 나눈 대화 정리해서 올립니다. 다음에 또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1. 기록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모든 것을 다 기록할 것은 아닙니다.기록을 할 때 시간과 품이 많이 듭니다. 적절한 수준이 필요합니다. 그렇기에 더욱 욕구에 한정된 기록을 해야 합니다. 사례관리 업무 중에서 당사자의 욕구와 관련된 내용을 기록합니다. 특히, 당사자가 지금까지 잘 해온 것, 잘 할 수 있는 것을 기록합니다. 한계는 있습니다. 사례관리..
물품배분활동 어떻게 할까? 지역사회보호사업을 하면서 피해가기 어려운 사업이 물품배분사업입니다. 물품배분은 참 어려운 활동입니다. 받아오는 것도 어렵지만 주는 것도 쉽지만은 않습니다.(오히려 더 어렵습니다.) 사회사업가로서는 주는 문제는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문제이기도 합니다. 생각없이 주었다가는 분란 일으키기 쉽습니다. 사회사업가로써는 더 그렇습니다. 가급적 물품배분 따위는 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물품배분은 외부자원에 해당합니다. 가급적 당사자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함이 좋습니다. 외부자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되면 의존하게 됩니다. 자신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는 방법이 잊게 됩니다. 점점 더 타인에게 의존적으로 변하게 되기 마련입니다. 만약 물품배분을 하더라도 최소한으로 지원하면 좋겠습니다. # 물품배분을 할 때 어려운 것 ..
시회사업 하면서 죽으라는 법은 없다. 사회사업하면서 죽으라는 법은 없는것 같습니다. 터무니 없는 일으 그렇게 많지 않는 것 같아 보입니다. 막상 하려니 막막하지만 당사자와 지역사회를 두루 다니며 묻고 의논하고 부탁하면 길이 보입니다. 이번에 진행해야 할 사업도 그렇습니다. 어르신재가지원서비스센터에서 일하시는 장 어머님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어떤 일을 하면 좋을지 조금씩 풀리는 것 같습니다. 실적 부담 크게 느끼지 않습니다. 누가 뭐라 하든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무시합니다.)일하는 목적은 당사자와 지역사회에 묻고 의논하고 부탁하여 당사자와 지역사회의 복지를 이루게 하기 위함입니다. 여기서 일하는 재미를 느끼느 겁니다.
인생칼럼 발췌 인생칼럼제8차 복지순례를 앞두고, 참가자들에게 요구한 과제입니다. 여기에 제시한 주제들은, 복지인으로 살아가다 보면 부딪히는 근본 문제, 정리해놓지 않으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발목 잡는 문제입니다. 2005. 12. 13. / http://www.welfare.or.kr 인생을 긍정적으로 보자.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자. 내게 일어난 일들, 내게 있는 것들, 나의 상황과 조건들의 의미를 재구성해 보자. 싫던 일도, 밉던 사람도, 고난도, 약점도 긍정적 관점에서 재해석해 보자. 강점 관점으로 바라보자. 방법론적 사고로 다시 보자. 부정적 요소가 있지만, 긍정적 요소를 강화함으로써 그것을 희석시켜 버리자. 부정적 요소나 상황이 달라지지 않더라도 그것을 해석하는 틀, 관점을 바꾸어서 의미를 새롭게 부여해..
부탁할 때는 개별적으로 찾아뵙는게 좋겠다. 어제 복지관 분과 모임에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설명했습니다. 짧은 시간 동안 설명하는게 쉽지 않았습니다. 핵심어와 요청사항 중심으로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여러 사람앞에서 홍보(?)하니 듣는 사람의 반응을 살피기 쉽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잘 듣고 있는지, 도와줄 열의가 있는지, 이 사업은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들을 수 없었습니다. 어려운 사업일 수록 더욱 개별적으로 만나서 진지하게 설명하고, 부탁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실효를 거두기 어려울 겁니다. # 그렇다고 이번 홍보가 의미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다음 기획에 이 사업을 안내하기 위해 찾아뵈면 잘 기억해 주실 겁니다. 두번째 듣는 이야기니 더 관심이 있게 들어주실지도 모릅니다. # 지역주민께 부탁할 것이 있을 때도 마찬가지인 것 같습니다. 내 이야..
지출관리를 도우면 좋겠다. 사례회의 하면서 든 생각 지출을 어느정도라도 파악하고, 당사자가 어떻게 지출되는 비용을 조정하면 좋을지 함께 의논해야 합니다. (결국 어떻게 지출을 하느냐에 따라 생활의 위험정도가 달라집니다.) 수입도 중요하긴 하지만, 우리가 만나는 분들은 딱히 수입을 늘어나게 할 만한 방법이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지출에 더 신경을 쓰게 되는 것 같습니다. # 당사자의 삶이니 당사자가 선택하여 살아가게 하시면 되겠지요. 그래도 사회복지사가 바라는 욕구(당사자에게 희망하는 삶)도 있으니... 이도 무시못합니다.
실적? 그때 그때 생각나는 복지요결 사례회의는 여러 사람이 모여 의논해야 할 만한 일이 있을 때 하는 겁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저 당사자나 둘레 사람에게 묻고 의논하고 부탁하되 굳이 회의라는 형식을 갖출 것도 없고 특별히 사례회의라 할 것도 없습니다. #사례회의 실적?당사자와 함께 둘레 사람에게 묻고 의논한 기록 몇 건을 '문서'에 그렇게 꾸며 넣으면 되지 않을까요? 돌봄사업 궁리하면서 부지불식간에 실적에 얽매이지 않았나 모르겠습니다. 실적을 위한 복지사업이 되지 않아야 할텐데요. 실적은 서류에 꾸며넣는 숫자에 불가합니다. 그 숫자 자체는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의미가 있으려면 그 숫자가 가지는 의미를 해석해야 하는데 사회사회의 가치로써 그 숫자를 해석해 내기란 쉽지 않아 보입니다. 중요한 것은 지역사회 바탕에..